한·영 번역 1급 1교시
[제한시간 70분, 50점]
※ 다음 문제를 모두 영어로 번역하시오.
한국의 대중문화가 K-Pop을 중심으로 세계 각국에서 대중의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한류 현상을 놓고 한국문학의 세계화에 대한 기대도 높아지고 있다. 한국문학에서 세계화의 문제가 처음 제기된 것은 지난 1990 년대이다. 당시만 하더라도 ‘세계화’라는 개념은 한국문학의 경우 매우 낯선 과제였다. 한국문학은 지난 한 세기동안 근대적인 문학의 형태로 변모해 왔다. 그러나 한국문학이 추구해온 근대성의 개념에는 한국 사회의 근대적 변혁이라는 시대적인 특수성이 항상 전제된다. 봉건적인 조선 사회의 해체와 근대적인 시민 사회의 성립과정에서 한국은 일본식민지 시대를 겪었고, 근대적인 민족 국가의 건설에 즈음하여 동족상잔(同族相殘)의 참혹한 전쟁과 국토와 민족의 분단을 오랫동안 체험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특수성은 한국문학의 근대성 자체를 제약하는 요건이 되기도 하며 서구적인 개념으로 한국문학을 논의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 한국문학의 세계화를 논의하기 시작하면서 가장 큰 관심의 대상이 된 것은 한국문학의 해외 번역출판 문제이다. 한국문학의 해외 번역출판은 한국 상품이 해외로 수출되는 현상과는 전혀 다른 차원에 속한다. 문학 작품의 해외번역 출판과 그 소개는 문화의 전파와 수용(受容)이라는 새로운 문제를 야기한다. 이것은 가격과 품질, 그리고 패션에 좌우되는 상품 소비시장의 원리와는 전혀 다른 요건들에 의해 지배된다. 그러므로 이 문제는 경제적 접근에 의해서가 아니라, 문화적 접근에 의해서만 가능한 일이다. 한국문학의 세계화는 한국문학이 이질적인 외국문학 속에 들어가 서로 충돌하기도 하고 화해로운 만남을 이루기도 하는 과정 속에서 이루어진다. 한국문학의 세계화는 새로운 21 세기를 맞는 한국문학의 필수적인 과제이다. 이를 위해 기존에 전개해온 해외 번역출판 사업 이외에도 새로운 접근방식이 필요하다. 첫째, 외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 교육에 대한 지원확대이다. 한국문학의 세계화는 한국어의 세계적인 보급과 직결된다. 한국어 교육으로부터 한국에 대한 인식이 가능해지며, 한국어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한국문학에 대한 관심을 확대시킬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국 대학에서의 한국어 교육과 그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관심이 소홀했던 것이 사실이다.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강좌 교재를 다양화하고 교육 현장의 실정에 맞도록 체계화하는 작업에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외국 대학의 한국어 교육 강좌의 교육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국내외 전문가들의 인적 네트워크를 더욱 확대하고 교육 연구를 지원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문학 해외 번역출판에 대한 다양한 홍보 방식을 모색해야 한다. 문학작품의 번역 출판이 잘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외국 독자들의 관심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해외 홍보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매년 특정 작가의 특정 작품에 대한 집중적인 홍보 프로그램을 만들어 지속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해외 한국학 연구기관과 공동으로 한국문학에 대한 정기적인 순회 낭독회, 강연회 등을 운영할 수 있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만들어 운영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홍보 프로그램은 외국의 한국학 관련기관 만이 아니라 한국문화원이나 해외 공관 그리고 교민사회와의 협력을 통해서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한국문학 전문가를 제대로 육성해야 한다. 일본의 경우 지난 60년대부터 해외 일본학의 발전을 위해 엄청난 연구비를 투자해 왔으며, 그 결과로 세계 각국의 대학에서 수많은 일본문화 전문가를 양성하였고 일본문화의 세계화를 상당 수준 이루어내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도 몇몇 재단을 중심으로 여러 가지 지원 대책을 만들고 있으나, 보다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지원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해외 한국문학 교육연구 지원 기금을 만들어 세계 각 지역의 한국학 연구자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해외 대학의 한국문학 전문가들의 연구 활동을 연결하고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 질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